본 포럼은 험로가 예상되는 미래의 그 첫발을 내딛고자 합니다.
“삼성전자 임원 성과급 주식 지급, 주주 얼라인먼트 보상정책 전환”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은 최근 삼성전자가 대표이사를 포함한 임원 1000여 명에게 지급하는 성과급 일부를 자사주로 한다는 정책을 공지한 데 대해 “그간 지적된 주주, 이사회, 임직원 사이 얼라인먼트 부재를 해결하기 위한 의미 있는 첫 단추”라고 평가했다.
포럼은 20일 논평을 내고 “삼성전자도 애플, 엔비디아, 알파벳, 아마존같이 개인이 노력하고 회사가 발전하면 장기 주가 상승을 통해 ‘나도 부자가 될 수 있다’는 ‘주식문화(Equity culture)’가 자리 잡으면 한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17일 사내 게시판에 임원에 대한 초과이익성과급(OPI) 일부를 자사주로 지급하는 내용을 공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상무는 성과급의 50% 이상, 부사장은 70% 이상, 사장은 80% 이상의 자사주를 선택해야 한다. 등기임원은 100%다.
포럼은 “포럼은 지난해 10월 삼성전자를 향해 삼성전자 핵심 인력은 글로벌 수요가 많으므로 실리콘밸리에서 보편화된 양도제한조건부주식(RSU) 같은 주식보상 제도를 즉시 도입해 인재 이탈을 막으라고 당시 이사회와 경영진에 주문했다”고 설명했다.
(이하 전문은 저작권 관리 정책에 의해 아래 원문 링크를 통해 확인 부탁드립니다.)
“삼성전자 임원 성과급 주식 지급, 주주 얼라인먼트 보상정책 전환” - 이투데이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은 최근 삼성전자가 대표이사를 포함한 임원 1000여 명에게 지급하는 성과급 일부를 자사주로 한다는 정책을 공지한 데 대해 “그간 지적된 주주, 이사회, 임직원 사이 얼라인먼트 부재를 해결하기 위한 의미 있는 첫 단추”라고 평가했다.
포럼은 20일 논평을 내고 “삼성전자도 애플, 엔비디아, 알파벳, 아마존같이 개인이 노력하고 회사가 발전하면 장기 주가 상승을 통해 ‘나도 부자가 될 수 있다’는 ‘주식문화(Equity culture)’가 자리 잡으면 한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17일 사내 게시판에 임원에 대한 초과이익성과급(OPI) 일부를 자사주로 지급하는 내용을 공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상무는 성과급의 50% 이상, 부사장은 70% 이상, 사장은 80% 이상의 자사주를 선택해야 한다. 등기임원은 100%다.
포럼은 “포럼은 지난해 10월 삼성전자를 향해 삼성전자 핵심 인력은 글로벌 수요가 많으므로 실리콘밸리에서 보편화된 양도제한조건부주식(RSU) 같은 주식보상 제도를 즉시 도입해 인재 이탈을 막으라고 당시 이사회와 경영진에 주문했다”고 설명했다.
(이하 전문은 저작권 관리 정책에 의해 아래 원문 링크를 통해 확인 부탁드립니다.)
“삼성전자 임원 성과급 주식 지급, 주주 얼라인먼트 보상정책 전환” - 이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