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문혜원 기자 =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은 최근 임원의 연말 성과급을 자사주로 지급한다고 발표한 삼성전자(005930)에 대해 "선진국형 보상 체제로 가는 첫 걸음마를 뗐다"고 20일 평가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17일 사내 공지를 통해 임직원에게 사업부별 '초과 이익성과급'(OPI) 지급률을 공개하고 임원 대상 OPI 지급 방식 변경을 발표했다.
임원을 대상으로 성과급을 자사주로 지급하고 1년 뒤 주가가 내려가면 자사주 지급량은 줄이기로 했다. 성과급 중 자사주 선택 비중은 △상무 50% 이상 △부사장 70% 이상 △사장 80% 이상 △등기임원 100%로, 임원들은 직급에 따라 성과급 중 일부를 자사주로 받아야 한다.
거버넌스포럼 측은 "뒤늦었지만 삼성전자도 애플, 엔비디아, 알파벳, 아마존같이 개인이 노력하고 회사가 발전하면 장기 주가 상승을 통해 '나도 부자가 될 수 있다'는 '주식문화'(Equity culture)가 자리 잡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 문혜원 기자 =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은 최근 임원의 연말 성과급을 자사주로 지급한다고 발표한 삼성전자(005930)에 대해 "선진국형 보상 체제로 가는 첫 걸음마를 뗐다"고 20일 평가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17일 사내 공지를 통해 임직원에게 사업부별 '초과 이익성과급'(OPI) 지급률을 공개하고 임원 대상 OPI 지급 방식 변경을 발표했다.
임원을 대상으로 성과급을 자사주로 지급하고 1년 뒤 주가가 내려가면 자사주 지급량은 줄이기로 했다. 성과급 중 자사주 선택 비중은 △상무 50% 이상 △부사장 70% 이상 △사장 80% 이상 △등기임원 100%로, 임원들은 직급에 따라 성과급 중 일부를 자사주로 받아야 한다.
거버넌스포럼 측은 "뒤늦었지만 삼성전자도 애플, 엔비디아, 알파벳, 아마존같이 개인이 노력하고 회사가 발전하면 장기 주가 상승을 통해 '나도 부자가 될 수 있다'는 '주식문화'(Equity culture)가 자리 잡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하 전문은 저작권 관리 정책에 의해 아래 원문 링크를 통해 확인 부탁드립니다.)
거버넌스포럼 "삼전, 자사주로 임원 성과급…선진국형 보상 체제" - 뉴스1